

웹접근성의 이해
- 웹 접근성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웹 접근성의 정확한 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 웹 접근성에 대한 관한 용어를 구분할 수 있다.
웹 접근성이란?
웹 콘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
- 한국정보화진흥원 -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 W3C WAI -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하고, 운영하고, 이해하고, 기술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웹 콘첸츠를 만드는 것
- 위키피디아 - 표준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웹 페이지에 접근하기 쉽게 만드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장애인들도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용어사전 - 웹 접근성은 신체장애나 저속통신 및 무선 통신 등 어떠한 환경에서도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
Web이란?
웹(World Wide Web)은 1989년 스위스에 소재한 입자물리 연구소(CERN, European particle Physics Laboratory)의 연구원이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제안한 것으로 각종 연구자료와 정보 공유가 목적이었음
구성요소
- - 문서의 구조 : HTML
- - 문서의 연결 : Hyperlink
- - 문서의 주소 : HTTP
Web for All
"웹이 추구하는 꿈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우리가 의사 소통할 수 있는 공통된 정보공간을 갖는 것이다."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으며,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Tim Berners Lee
웹 접근성의 범위
웹 접근성은 장애인만을 위한 규정이 아니라, 나이, 환경같은 일시적인 장애상황에 대비하여 비장애인에 대한 사용자 환경도 고려되어야 하며, 다양한 단말기나 소프트웨어같은 다양한 기술환경도 고려해야한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웹 접근성 품질마크'의 기준
- 장애인과 보조기술에 관계된 지침
- 비장애인도 혜택을 받는 형태로 기술
웹 접근성의 적용 범위 점차 넓어짐
'넓은 의미'의 기대만큼 적용 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
웹 접근성의 관련 용어1
- 용어의 정의 이해
- 웹 표준, 웹 호환성 의미 이해
예제 이미지
웹 접근성의 관련 용어2
웹 표준이란?
웹 표준이란 웹에서 정한 기술표준으로 W3C와 같은 표준화 기구에서 승인한 개방형 인터넷 표준이다.
= 웹 기술에 대한 표준 규격의 공통의 약속
웹 표준에 대한 위키디피아 기술 : 웹 표준(Web standards)은 월드 와이드 웹의 측면을 서술하고 정의하는 공식 표준이나 다른 기술 규격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최근에 이 용어는 웹 사이트를 작성하는 데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웹 디자인, 개발과 관계가 있다. 수많은 상호 의존성이 있는 표준들과 규격들 가운데 일부는 단지 월드 와이드 웹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의 관리 측면이기도 하며 이러한 표준들은 직간접적으로 웹 사이트, 웹 서비스 개발과 관리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것들 모두 "웹 표준"이라고 부르지만 웹 표준으로 이동하는 것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사용성과 접근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더 높은 수준의 표준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웹 사용성(Web Usability)은 웹 접근성과 무슨 차이인가?
- 웹 사용성은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사용하며넛 얻는 경험적 만족도, 얼마나 웹사이트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이다.
- 웹 사용성은 시스템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받음
유니버셜 디자인은 무엇인가?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별도로 개조하거나 특별히 설계하지 않아도 모든 사람들이 최대한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진 제품과 환경에 대한 디자인을 의미한다.
유니버셜 디자인의 철학은 그 대상을 모든 사람들(all people) 또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as many people as possible)로 규정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그래서 무장애 디자인(Barrier-free Design)이나 접근가능한 디자인(Accesible Design)처럼 장애인 고령자 등 특정계층만을 향하지 않는다.
유니버셜 디자인은 보편성에 가치를 두고 있다. 특정 핸디캡만을 극복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이미 특별한(Special) 디자인인 셈이다. 현실적으로 어떤 제품이나 환경도 모두를 만족시킬 순 없다. 만약 모두가 만족하는 제품이나 환경이 있었다면, 유니버셜 디자인은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유니버셜 디자인은 달성해야 하는 목표(Goal)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Process)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 출처 : 웹 접근성 연구소 전문가 칼럼 「유니버셜 디자인이란?」, 노주환(2006.11.2)
웹 표준 준수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웹 표준을 준수하면 웹 접근성과 웹 호환성이 좋아짐
- 각 고유한 영역에 호환이 정비례하여 좋아지진 않을 수 있음
- 높아진 웹 호환성은 곧 넓은 의미에서의 웹 접근성에도 도움
선형화를 통한 논리적 순서 확보
HTML에서는 뼈대와 같은 구조화된 마크업만을 사용,CSS로 모양이나 디자인에 관한 내용을 분리하여 구조는 변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디자인 적용
테이블, 웹 표준 레이아웃
학습정리
웹 접근성이란?
웹 콘텐츠라는 대상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
웹 접근성의 중요성
- 누구나, 어떠한 기술 환경에 구애받지 않음
-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
웹 접근성의 범위
웹 접근성의 좁은 의미 :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서의 장애인, 보조기기, 보조기술 = 장애인 접근성
웹 접근성 관련 용어
웹 접근성의 넓은 의미
기본적인 정의나 기대효과
웹 접근성의 지침
- "장애인 접근성" 중심으로 현재까지 ActiveX 사용
- 시각장애인이등 다양한 장애유형별 사용자가 이를 키보드로 이용 가능함
- 대체수단을 통하여 음성 지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다면 웹 접근성을 준수한 것으로 인정
웹 표준, 웹 호환성, 오픈 웹
정지 기능 제공
웹 표준
월드 와이드 웹의 측면을 서술하고 정의하는 공식 표준이나 다른 기술 규격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
웹 호환성
- 행정기관이 국민을 대상으로 함 -> 전자정부 서비스 등의 웹 사이트를 사용자인 국내외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
-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든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함
다.오픈 웹
윈도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전자정부와 온라인 뱅킹 서비스를 대상으로 함

HyunZzang의 배우는 공간 / 함께 공부해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