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규 표현식 (Regix)
PROGRAMMING/00. 관련 용어2024. 6. 13. 13:15정규 표현식 (Regix)

★KEYWORD★📢 패턴(pattern)으로 특정 목적을 위해 필요한 문자열의 집합을 지정하기 위해 쓰이는 식정규 표현식(regexp / regex, rational expression)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이다.(❓ 형식언어: 수학, 컴퓨터 과학, 언어학에서 쓰는 말, 특정한 법칙들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된 문자열들의 집합) 주로 Prograaming Language나 Text Editor등에서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위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메타문자. ^ $ * + ? {} [] \ | ()메타문자는 문자를 설명하기 위한 문자로, 문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원래의 의미가 아닌 다른 의미로 쓰이는 문자를 말함정규 표현식에서는 위와 같은 메타문자를 사용함정..

Direct Access Table / 해쉬 테이블(Hash Table)
PROGRAMMING/00. 관련 용어2024. 5. 28. 12:51Direct Access Table / 해쉬 테이블(Hash Table)

★KEYWORD★📢 Direct Access Table : key를 바탕으로 배열의 인덱스에 데이터를 저장 / 각 key에 해당하는 value를 알고 싶으면 해당 인덱스에 접근하면 됨📢 해시 테이블 (Hash Table) : 해시 함수와 배열을 같이 사용하는 자료구조 / 기본연산으로는 탐색(Search), 삽입(Insert), 삭제(Delete)가 있음 / 평균적으로 O(1)의 시간 복잡도를 가짐Direct Access Table배열에서 인덱스를 순서가 아니라 key라고 생각하고 key-value쌍을 저장하는 방식이다.key를 바탕으로 배열의 인덱스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Ex)'27'키는 배열의 27번 인덱스에 저장'100'키는 배열의 100번 인덱스에 저장'999'키는 배열의 999번 인덱스에 저장..

GUID
PROGRAMMING/00. 관련 용어2024. 5. 24. 09:06GUID

★KEYWORD★📢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유사난수 / 유니티에서의 GUID : 프로젝트 내에서 에셋이 사용되거나 이동된 위치에 관계없이 자산을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GUID전역 고유 식별자(全域固有識別子, 영어: Globally Unique Identifier, GUID / 그위드)는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유사난수이다. GUID는 생성할 때 항상 유일한 값이 만들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의 수가 2128 = 3.4028×1038개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적절한 알고리즘이 있다면 같은 숫자를 두 번 생성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기본구조GUID는 16바이트, 즉 128비트 숫자이다. 16진수로 쓰면 다음과 같은 형태이다3F 25 04 E0 4..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PROGRAMMING/00. 관련 용어2024. 5. 10. 13:39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KEYWORD★프로그래밍에 집중하여 개발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식 / 개발주기를 짧게 반복 / 위험을 최소화 / 소통을 중요시함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Agile software development)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혹은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 대한 개념적인 얼개로, 프로젝트의 생명주기동안 반복적인 개발을 촉진한다.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는 기획 - 개발 - 출시로 구성된 짧은 주기의 사이클이 반복되는 형식이다.  해당 프로세스를 통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애자일 개발 방식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한 마디로 개발주기를 짧게 반복하여 위험을 최소화시키고 소통을 중요시 여기는 방식이 애자일 개발 방식이다.최근에는 애자일 게임 보급 등의 여파..

테스트 주도 개발 (Test Driven Developing)
PROGRAMMING/00. 관련 용어2024. 5. 10. 13:25테스트 주도 개발 (Test Driven Developing)

★KEYWORD★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법론 /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구현 / 단순한 설계를 중요시함테스트 주도 개발 (TDD)테스트 주도 개발(Test-driven development TDD) 은 매우 짧은 개발 사이클을 반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중 하나이다. 개발자는 먼저 요구사항을 검증하는 자동화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그런 후에, 그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작성한 코드를 표준에 맞도록 리팩터링 한다. 이 기법을 개발했거나 '재발견' 한 것으로 인정되는 Kent Beck은 2003년에 TDD가 단순한 설계를 장려하고 자신감을 불어넣어 준다고 말하였다. ➡️ TDD와 ..

데이터 주도 개발 (Data Driven Development)
PROGRAMMING/00. 관련 용어2024. 5. 10. 13:06데이터 주도 개발 (Data Driven Development)

★KEYWORD★소프트웨어 개발 접근 방식 / 데이터를 사용하여 개발 프로세스를 이끌어가는 방법 데이터 주도 개발 (DDD)데이터 주도 개발 (Data Driven Development)은 최근 몇 년간 데이터 과학과 머신러닝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개념이다.데이터를 중심을 의사 결정을 내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을 강조한다. 데이터 분석 및 예측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데이터 주도 개발은 소프트웨어 개발 접근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개발 프로세스를 이끌어가는 방법을 강조한다.이 방법은 데이터 분석, 실험, 피드백 루프를 강조하여 개발자가 어떤 기능을 구현할지, 어떻게 구현할지, 어떻게 개선할지에 대한 보다 명확한 결정을..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