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컴파일러가 데이터형 변환 검사를 진행하는 순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VG0hX%2FbtsG7CKtYBQ%2FmkVZ1vpSpGZB4vMUY2aXQK%2Fimg.jpg)
(C++ 11 버전) 컴파일러가 산술식에서 어떤 데이터형 변환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검사를 진행하는 순서한쪽 피연산자가 long double형이면, 상대편 피연산자를 long double형으로 변환그렇지 않고 한쪽 피연산자가 double형이면, 상대편 피연산자를 double형으로 변환그렇지 않고 한쪽 피연산자가 float형이면, 상대편 피연산자를 float형으로 변환그렇지 않다면 피연산자들이 정수형이므로 정수 승급이 일어남이 경우엔, 양쪽 피연산자가 모두 signed이거나 모두 unsigned일 경우에는 두 피연산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큰 쪽으로 변환반면에, 한쪽 피연산자가 signed이고, 다른 쪽이 unsigned일 경우, unsigned피연산자가 signed피연산자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면 unsign..
![[C++] const 제한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Urk7W%2FbtsG5jxUI38%2FPaeUCONkTYl9XgQItefa10%2Fimg.jpg)
constconstant의 약자로 명사형 사전적 의미로 "상수"를 뜻한다.말 그대로 C++에서 const는 그 대상을 변경하지 않는 상수를 의미한다. ⭐상수 : 변하지 않는 값특징상수를 기호 이름으로 나타내어 그 상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금방 알 수 있다.상수의 값을 바꿀 필요가 있을 때 기호 이름이 정의된 부분만 살짝 바꾸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define문 보다 더 쉽게 기호 상수를 다룰 수 있다.한번 초기화 되면 그 값이 고정된다. (컴파일러는 이후에 const 값을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에러메시지를 내보낸다)선언의 의미를 제한하므로 제한자(qualifer)라고 부른다.일반적인 관행은 상수라는 걸 금방 알 수 있도록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쓴다 (🔹Ex. const int DOZEN = 12;)형..

오토마타 이론(영어: Automata Theory)계산 능력이 있는 추상 기계와 그 기계를 이용해서 풀 수 있는 문제들을 연구하는 컴퓨터 과학의 분야이다.여기서 추상 기계를 오토마타(automata, 복수형) 또는 오토마톤(automaton, 단수형), 즉 자동 기계라고 부른다.이 이름은 '자동'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αὐτόματα'에서 유래하였다. 일반적으로 오토마타는 적어도 유한한 상태를 갖고, 입력을 받아 입력에 따라 일정하게 상태를 전이하며, 출력을 내놓는다. 이는 알고리즘이 요구하는 것, 즉 계산 문제를 해결할 능력과 같다. 계산 문제는 일반적으로 오토마타의 능력에 맞게 결정 문제로 환산되며, 이 때 추상 기계와 형식 언어, 형식 문법은 불가분의 관계가 된다. 따라서 오토마타는 언어와 문법과 ..

★KEYWORD★유한 상태 기계 (FSM) / 상태(state)를 기반으로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게임 디자인 패턴 /한 번에 하나의 상태만을 가짐유한 상태 기계 (Finite-state machine)정의유한 상태 기계(finite-state machine, FSM) 또는 유한 오토마톤(finite automaton, FA; 복수형: 유한 오토마타 finite automata)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전자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 데에 쓰이는 수학적 모델이다. 간단히 '상태 기계'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한 상태 기계는 유한한 개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는 오토마타, 즉 추상 기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는 한 번에 오로지 하나의 상태만을 가지게 되며, 현재 상태(Current State)란 ..
![[C++] signed, unsigned char형 / wchar_t / char16_t, char32_t](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V7Yky%2FbtsG5vLbBxa%2FrtowHkjKWiyxMxQkJI2DKk%2Fimg.jpg)
signed char / unsigned char형int형과는 달리 char형은 signed인지 unsigned인지 미리 정해져 있지 않다.그 이유는 C++ 시스템 개발자가 하드웨어의 특성에 맞추어 알맞은 char형을 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그러나 char형이 어느 특별한 한 가지 행동만을 보여야 한다면 명시적으로 signed과 unsigned을 제한할 수 있다. 🟣 char cpp; ➡️ signed 또는 unsigned형🟣 unsigned char c; ➡️ 명백히 unsigned형🟣 signed char pp; ➡️ 명백히 signed형 이런 구분은 char형으로 수를 나타내고자 할 때 중요하다.unsigned char형은 0에서 255까지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고, sign..
![[C++ 기초 플러스] 2장 요약 / 문제 풀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4DWNO%2FbtsG5mmJipi%2FqMiBIi86Tk4mNXrceKSKx0%2Fimg.jpg)
C++ 기초 플러스 2장 요약 (summary) 🔵 C++ 프로그램함수라고 부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로 이루어짐.프로그램은 main() 이라는 함수부터 실행이 시작되므로 어떤 프로그램이든지 간에 main() 함수가 반드시 하나 있어야 함. 🔵 함수함수 머리와 함수 몸체로 이루어짐.함수 머리는 그 함수가 (리턴값이 있을 경우) 어떤 데이터형의 값을 리턴하고, 어떤 종류의 정보를 매개변수로 받는지를 나타냄.함수 몸체는 중괄호 { } 로 둘러싸인 C++ 구문들로 이루어짐. 🔵 C++ 구문들의 유형선언 구문(declaration statement): 함수에서 사용되는 변수의 이름과 데이터형을 선언대입 구문(assignment statement):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여 변수에 값을 대입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