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열거체 (enum)](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WsSy%2FbtsHcnevFII%2Ff1MwAOqvp4UayfSav5Egx1%2Fimg.jpg)
enum (열거체)const를 사용하여 기호 상수를 만드는 것에 대한 또 다른 방법 / 📖const 참고제한적이지만 새로운 데이터형을 정의할 수 있다.정의 방법1enum spectrum {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violet, indigo, ultraviolet };cs ➡️ spectrum을 새로운 데이터의 이름으로 만든다. enum형 변수들을 열거체(enumeation)라고 한다.➡️ red, orange, yellow, ・・・ 등을 0에서 7까지의 정수 값을 각각 나타내는 기호상수로 만든다. 이 상수들을 열거자(eumerator)라고 한다. 첫 번째 열거자에 0이 대입되고, 두 번째 열거자에 1이 대입되는 방식으로 정수값들이 차례로 대입된다. (하지만 정수값..
![[C++] string(문자열) 클래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z779U%2FbtsG9AmzD1q%2FGkjh4Mc69z9hsP4vrK1itk%2Fimg.jpg)
string 클래스문자열을 저장하는 데 문자 배열을 사용하는 대신에 string형 변수(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문자 배열 : char chr[20];)문자 배열보다 사용하기 쉽고 문자열을 하나의 데이터형으로 나타내는 표현을 제공한다.문자열의 배열 성질을 보이지 않게 감춤으로써, 문자열을 보통의 변수처럼 취급할 수 있게 한다. 💡 string 객체와 문자 배열의 차이점➡️ string 객체를 배열이 아니라 단순한 변수로 선언하는 것사용법1#include string>cs⚠️ string 헤더 파일을 포함시켜야 한다 ⚠️⚠️ std 이름 공간에 속해 있어서, using 지시자를 사용하거나 (using namespace std;) std::string을 사용하여 클래스를 참조해줘야 한다 ⚠️특징C 스..
![[C++] getline() / get()](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wsay%2FbtsHbstcwOw%2FTzCaH9dyO3NuMDb4MsgtVK%2Fimg.jpg)
getline() / get()단어 하나씩이 아니라 전체 어구를 하나의 문자열로 입력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어 단위의 문자열 입력이 아닌 행 단위의 문자열 입력)전체 입력 행을 읽는다. (개행 문자가 나올 때까지 읽음)getline()Enter키에 의해 전달되는 개행 문자를 입력의 끝으로 간주하여 한 행 전체를 읽는다.개행 문자를 읽어서 폐기한다. (개행 문자는 저장하지 않음)문자열을 배열에 저장할 때 개행 문자는 널 문자로 대체된다.cin.getline()을 함수 호출로 사용함으로써 이 메서드를 호출 할 수 있다.호출 형태두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 매개변수 1 : 입력한 행을 저장할 배열의 이름🟠 매개변수 2 : 입력받을 문자들의 한계 (Ex : 한계가 20이면 최대 19개까지 문자들을 입력받을 ..
![[C++ 기초 플러스] 3장 요약 / 문제 풀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HFOl%2FbtsG73utLR4%2Fkr6rGxmROlL9a4hurw5QEk%2Fimg.jpg)
📑 C++ 기초 플러스 3장 요약 (summary)🔵 C++ 기본 데이터형1️⃣ 정수형으로 저장되는 값signed냐 unsigned에 따라 정수형은 여러가지형으로 나뉨정수형을 크기가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bool ➡️ char ➡️ signed char ➡️ unsigned char ➡️ short ➡️ unsigned short ➡️ int ➡️ unsigned int ➡️ long ➡️ unsigned long short형은 최소한 16비트이다.int형은 최소한 short형 만큼은 커야한다.long형은 최소한 32비트이고, 최소한 int형 만큼은 커야 한다. wchar_t 정수형(들어갈 위치는 시스템에 따라 다름)char형은 시스템의 기본 문자 세트에 속하는 어떠한 문자도 저장할 수 있을 만큼..
![[C++] 컴파일러가 데이터형 변환 검사를 진행하는 순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VG0hX%2FbtsG7CKtYBQ%2FmkVZ1vpSpGZB4vMUY2aXQK%2Fimg.jpg)
(C++ 11 버전) 컴파일러가 산술식에서 어떤 데이터형 변환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검사를 진행하는 순서한쪽 피연산자가 long double형이면, 상대편 피연산자를 long double형으로 변환그렇지 않고 한쪽 피연산자가 double형이면, 상대편 피연산자를 double형으로 변환그렇지 않고 한쪽 피연산자가 float형이면, 상대편 피연산자를 float형으로 변환그렇지 않다면 피연산자들이 정수형이므로 정수 승급이 일어남이 경우엔, 양쪽 피연산자가 모두 signed이거나 모두 unsigned일 경우에는 두 피연산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큰 쪽으로 변환반면에, 한쪽 피연산자가 signed이고, 다른 쪽이 unsigned일 경우, unsigned피연산자가 signed피연산자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면 unsign..
![[C++] const 제한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Urk7W%2FbtsG5jxUI38%2FPaeUCONkTYl9XgQItefa10%2Fimg.jpg)
constconstant의 약자로 명사형 사전적 의미로 "상수"를 뜻한다.말 그대로 C++에서 const는 그 대상을 변경하지 않는 상수를 의미한다. ⭐상수 : 변하지 않는 값특징상수를 기호 이름으로 나타내어 그 상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금방 알 수 있다.상수의 값을 바꿀 필요가 있을 때 기호 이름이 정의된 부분만 살짝 바꾸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define문 보다 더 쉽게 기호 상수를 다룰 수 있다.한번 초기화 되면 그 값이 고정된다. (컴파일러는 이후에 const 값을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에러메시지를 내보낸다)선언의 의미를 제한하므로 제한자(qualifer)라고 부른다.일반적인 관행은 상수라는 걸 금방 알 수 있도록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쓴다 (🔹Ex. const int DOZEN = 12;)형..